다윗과 골리앗

여러분, 다윗과 골리앗 얘기 아시나요? 양치기 소년 다윗이 전쟁터에서 거인 장수 골리앗과 맞짱을 떠서 이겼다는 이야기 말입니다. 저는 이 이야기를 생각할 때마다 말할 수 없이 가슴이 벅차오릅니다. 말콤 글래드웰이 이 이야기를 전략이라는 시각에서 풀어놓은 책이 있는데 꼭 한번 읽어보시길 권합니다. 오늘 제가 그 책의 시각을 초 압축판으로 들려드리겠습니다.

다윗과 골리앗 이야기에서 골리앗은 전투 경력이 많은 거인 장수이고 갑옷을 입고 투구를 쓰고 있습니다. 그리고 큰 칼을 들고 있습니다. 이에 비해 다윗은 전투 경력도 없는 양치기입니다. 누가 봐도 전혀 맞수가 되지 않습니다. 그런데 대체 어떻게 다윗이 이겼을까요? 그건 다윗이 골리앗의 게임이 아니라 다윗 자신의 게임을 했기 때문입니다.

고대 전투에서 일대일로 싸우는 방식은 늘 근접 전투입니다. 가까이 가서 서로 칼을 휘두르는 거죠. 그런 싸움에서 골리앗은 매우 유리합니다. 키도 크고 힘도 세고 칼도 크고 게다가 갑옷을 입고 투구를 쓰고 있습니다. 전투 경험도 풍부합니다. 그러니 다윗 아니라 그 누가 나가서 붙어도 사실상 승산이 없습니다. 그래서 이스라엘 쪽에서는 아무도 감히 골리앗과 싸우겠다고 나서는 사람이 없었던 것이죠.

다윗은 그런 골리앗과 싸우겠다고 자원을 했습니다. 그런데 다윗은 왕이 제공해 준 갑옷, 투구, 칼 등을 다 거절했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그런 걸 입고 그런 무기로 싸우는 것은 다윗의 게임이 아니라 골리앗의 게임이기 때문입니다. 다윗이 골리앗의 게임을 한다면 승산이 전혀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다윗은 골리앗의 게임이 아니라 다윗의 게임을 하려고 합니다.

왕이 제공해 준 갑옷, 투구, 칼 등을 다 거절했으니 다윗은 몸이 무척 가볍습니다. 그래서 중무장한 거인 골리앗과는 달리 빨리 달릴 수 있습니다. 무기는 평소에 양을 치면서 많이 사용해 본 물맷돌입니다. 그걸 가지고 빨리 달리면서 재빨리 물맷돌을 날리자 근접 전투를 기대하고 고함을 지르며 천천히 어기적거리며 다가오고 있던 골리앗은 돌 한방 맞고 그대로 쓰러져 버립니다. 그것으로 게임이 끝났습니다. 다윗의 완승입니다.

여러분, 자유와 행복과 대안적 삶을 살아가려는 여정에서 맞짱을 떠야 할 상대가 너무 많아서 혹은 너무 거대해서 기가 죽으시나요? 도저히 게임이 안 될 것 같아서 포기하고 사시나요? 역사는 거대한 골리앗을 소년 다윗이 이긴 이야기로 가득합니다. 용기를 내십시오. 창의력을 발휘하십시오. 골리앗의 갑옷과 투구와 칼에 주눅 들지 마시고, 자신의 양치기 경험, 물맷돌 경험에 주목하십시오. 골리앗의 갑옷과 투구와 칼을 무용지물로 만드는 전략을 짜십시오. 승산이 있습니다. 다윗이 골리앗을 이겼습니다.